티스토리 뷰
허리, 목 통증으로 일반적인 디스크라고만 생각했는데 그 원인이 생각지 못한 척추 및 척수 종양으로 인한 통증일 수 있는데요.
우리 몸의 기둥이 되는 척추에 종양이 생기면 신경을 압박하고 사지 마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EBS 명의 다시보기

EBS 명의 제 906회 <걸어서 집으로 - 척추척수 종양>편에서 신경외과 명의 김치헌 교수와 척추 , 척수 종양에 대해 알아보고 김치헌 교수 프로필도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김치헌 교수 프로필

학력/경력
학력 2003 ~ 200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 뇌신경과학 박사
2001 ~ 200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원 / 신경외과학 석사
1995 ~ 1999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1993 ~ 1995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 의예과
경력
2018. 8. ~ 2020. 8. 방문 교수, 에모리 대학교 척추 병원, 애틀란타, 미국
2018. 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신경외과학교실 / 교수
2012. 9. ~ 2018. 2.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 기금교수
2010. 9. ~ 2012. 8.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외과 / 임상조교수
전문분야



경추, 흉추, 요추 퇴행성, 비 종양성 질환
경추, 요추 디스크 질환은 대부분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되지만 10% 정도의 환자에게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게 됩니다. 수술이 꼭 필요한 경우에는 최소한의 수술 전략으로 기능의 호전을 도모하는 수술적 치료를 합니다. 중증 질환 중심으로 진료를 하고 있기 때문에 꼭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술을 하시라 권하지는 않지만 적정 수술 방법에 대한 가이드를 드립니다.
척수 혈관 질환
치료가 어려운 척수 혈관 질환에 대해 다학제 진료를 통한 적정 치료를 제공 합니다. 일반적으로 신경학적 증상이 많이 진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향후 악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술의 득과 실을 고려하여 적정 치료 방침을 제시합니다.
최소 침습 척추 수술
척추 항법 장치 와 내시경을 이용하여 최소한의 침습적 척추 수술을 합니다.
척수 종양 (원발성, 전이성)
척수 종양은 종양을 제거 하면서 신경 기능을 보존 해야 하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매우 까다롭습니다. 본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척추팀에서는 그동안의 경험과 축적된 노하우 및 수술 중 신경 감시 그리고 미세 현미경 수술법을 이용하여 최적의 치료를 제공 합니다.
복잡척추질환
선천성 기형, 수술 후 증후군, 난치성 척추 질환에 대해 100% 는 아니지만 면밀히 재검토를 해서 최적의 치료 방침을 제공 합니다. 척추 종양은 원발성과 전이성으로 나누는데 모든 종양이 완치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술적 치료로 완치가 되는 종양, 척추 뼈에서 생긴 종양 및 척수 종양은 섬세한 수술을 통해 완치가 가능 합니다. 본 기관에서는 다학제 진료 (혈액 종양 내과, 방사선 종양 학과, 신경과, 재활의학과, 마취 통증 의학과) 를 통해 완치가 되지 않는다고 하여도 종양 조절 및 척추 안정화로 통증 및 마비를 호전시켜서 삶의 질을 향상 시킵니다.
